728x90
1. 변수 소개
변수(variable)는 값(데이터)을 보관하는 장소의 이름
- 컴퓨터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
- 사용 : 변수에 값을 저장하거나 읽기
변수에 값을 저장
- ‘=’ :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대입해주는 연산자
- 200을 변수 x에 저장
x(변수) = 200
변수에는 변경된 값이 저장 가능
- 현재 변수 x에는 300이 저장
x = 300
변수의 값을 출력하는 코드
- 300을 변수 x에 저장
- print를 이용하여 변수 x의 값을 출력
x = 300
print('x = ', x)
변수 이름 만들기 규칙
- 영문, 숫자, 밑줄(_)을 이용하여 변수 이름 작성
- 단, 변수 이름의 첫 글자는 영문 또는 밑줄(_)로 시작해야 함
- 변수 이름에서 영어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별이 있음
- 변수 이름에서 공백은 허용하지 않음
-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예약어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음
- 변수 이름 예
- 올바른 예 : num = 100, _num1 = 200
- 잘못된 예 : 2num = 300, num 3 = 500, 5 num = 700
2. 자료형
파이썬에서 다양한 자료형 제공
- 수치형 : 정수(int), 실수(부동소수점형, float), 복소수(complex)
- 시퀀스형 : 문자열(str), 리스트(list), 튜플(tuple)
- Bool …
자료형 확인 방법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 type(변수)을 이용해서 변수에 저장된 자료형 확인
x = 10
print(type(x))
3. 변수와 자료형
변수에 정수(integer) 저장
- 변수 x에 500 저장, 변수 y에 700 저장
- print로 x와 y의 값 출력
x = 500
y = 700
print(x, y)
변수에 정수 덧셈 결과 저장
- 변수 x에 800, y에 900을 저장하고 z에 x + y 결과 저장
- print를 이용하여 문자열 ‘sum = ‘을 출력하고 변수 z의 값 출력
x = 800
y = 900
z = x + y
print('sum = ', z)
파이썬에서는 변수에 다양한 자료형 데이터 저장 가능
x = 1.23
y = 3.14
print(x, y)
x = 1.23
y = 3.14
print('sum = ', x + y)
x = 'Good'
y = 'morning'
print(x, y)
# Good morning
x = 'Good'
y = 'morning'
print(x + y)
# Goodmorning
x = 'Good '
y = 'morning'
print(x + y)
4. 문자열
문자열에서 개별 문자 접근
- 문자열에서 개별 문자 접근을 위해서 index(첨자) 사용
- 문자열에서 index를 이용한 첫 번째, 마지막 문자 출력
x = 'good'
print(x[0]) # 첫 번째 문자 출력
print(x[3]) # 마지막 문자 출력
print(x[-1]) # 마지막 문자 출력
5. 데이터 입력 : input 함수
input 함수
입력된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전달하는 함수
- input 함수 실행을 통해서 입력 안내 메시지 출력
- input 함수는 입력 데이터를 문자열로 반환
user_name = input('사용자 이름 입력 : ')
print('사용자 : ', user_name)
6. 실습 예제
마일(mile)을 미터(meter)로 변환하는 문제
- 문제 : ‘마일 입력 : ‘이라는 입력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입력 받아서 정수형으로 변수 mile에 저장한다. 마일을 미터로 환산하여 변수 meter에 저장한다. print 함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출력 형식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시오.
- 힌트 : 미터 = 마일 * 1609
- 출력 형식 : __ 마일 = __ 미터
- 입력
- input 함수로 ‘마일입력 : ‘ 출력
- 입력된 마일을 정수형으로 변환하고 변수 mile에 저장
- 계산
- 변수가 포함된 변환 공식을 이용하여 미터로 계산 : meter = mile * 1609
- 출력
- 출력 형식에 맞게 print로 계산 결과 출력
mile = **int**(input('마일 입력 : '))
meter = mile * 1609
print(mile, '마일 =', meter, '미터')
7. 마무리
- 변수는 값을 보관하는 장소의 이름
- ‘=’을 이용하여 변수에 값을 저장하며 변수에는 변경된 값의 저장
- 변수 이름은 영문, 숫자, 밑줄(_)을 이용하여 구성
- 변수 이름의 첫 글자는 영문 또는 밑줄(_)로 시작해야 함
- 파이썬에서는 변수에 다양한 자료형 데이터를 저장
- 변수에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의 다양한 자료 저장
- 문자열은 문자들의 나열이며, ‘ ‘ 또는 “ “를 이용하여 표현
- 문자열에서 개별 문자 접근을 위해 index(첨자) 이용
- 데이터 입력을 위해 input 함수 사용
- input 함수는 입력 데이터를 문자열로 반환
'Python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5. 반복문 (0) | 2023.08.20 |
---|---|
[Python] 4. 조건문 (0) | 2023.08.20 |
[Python] 3. 연산자 및 수식 (0) | 2023.08.20 |
[Python] 1. 파이썬 및 파이참 설치 (0) | 202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