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B 설계 시 테이블간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외래키 사용은 필수적이다.
JPA에서는 이러한 외래키를 클래스 안에 클래스를 선언함으로써 사용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해주고 있다.
예시로 부모와 자식 관계를 들어보자.
부모 입장에서는 자식은 여러 명일 수 있지만, 자식 입장에서 부모는 한 명이다.
이 경우 부모는 여러 명의 자식을 가질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코드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public class Child {
@ManyToOne
@JoinColumn(name="parentId")
private Parent parent;
}
자식 입장에서 작성한 코드이다.
자식 클래스 내에 부모 클래스를 선언하고, Many (자식) to One (부모) 형태로 작성해 준 것이다.
이 외에도 @ManyToMany, @OneToMany, @OneToOn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관계성을 나타내 줄 수 있다.
[JPA] 다양한 연관관계 매핑 - @OneToMany @ManyToOne @OneToOne @ManyToOne
인프런에서 에서 김영한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을 듣고 쓴 정리 글입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ORM-JPA-Basic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 인프런 JPA를 처음 접하거
jyami.tistory.com
'Spring > Spring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ata는 왜 지양해야 하는 것일까? (0) | 2024.07.04 |
---|---|
[Spring] HTTP 메소드 : PUT과 PATCH의 차이 (0) | 2024.07.04 |
[JPA] hibernate의 ddl-auto 속성의 종류 및 주의 (0) | 2024.04.19 |
[Spring] Java - Lombok 호환 버전 정리 (0) | 2024.04.19 |
[Spring-Boot] Failed to configure a DataSource: 'url' attribute is not specified and no embedded datasource could be configured. 오류 해결 (0)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