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테코 프리코스16 [우테코] 프리코스 종료... 앞으로 뭘 해봐야 할까🤔 1차 합격자 발표 : 2023년 12월 11일(월) 오후 3시 최종 코딩 테스트 : 2023년 12월 16일(토) 최종 합격자 발표 : 2023년 12월 27일(수) 오후 3시 합격자 발표 이전까지 뭘하면 좋을까 고민하는 일종의 투두리스트 정리! TODO 3주차 회고 4주차 회고 1주차 미션 리팩토링 2주차 미션 리팩토링 3주차 미션 리팩토링 4주차 미션 리팩토링 백준 문제풀이 김영한 - 스프링 입문 적고 보니 빠듯할 것 같지만 나는 능히 해낼 수 있다! 2023. 11. 23. [우테코] BE 3주차 공통 피드백 함수(메서드) 라인에 대한 기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을 보면 함수 15라인으로 제한하는 요구사항이 있다. 이 기준은 main() 함수에도 해당된다. 공백 라인도 한 라인에 해당한다. 15라인이 넘어간다면 함수 분리를 위한 고민을 한다.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에 대해 고민한다 정상적인 경우를 구현하는 것보다 예외 상황을 모두 고려해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더 어렵다. 예외 상황을 고려해 프로그래밍하는 습관을 들인다. 예를 들어 로또 미션의 경우 아래와 같은 예외 상황을 고민해 보고 해당 예외에 대해 처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로또 구입 금액에 1000 이하의 숫자를 입력 당첨 번호에 중복된 숫자를 입력 당첨 번호에 1~45 범위를 벗어나는 숫자를 입력 당첨 번호와 중복된 보너스 번호를 입력 비즈니스 로직과.. 2023. 11. 11. [우테코] 2주차 회고 2주차 미션 2주차 미션은 자동차 경주 게임이었다! 이 또한 주제만 보면 그렇게 어려워보이지는 않았지만 나에게는 큰 산이 있었다... 바로 테스트 코드 작성이라는 산이었다ㅠ 테스트 코드에 대한 개념만 알고 있고 직접 작성해 본 경험이 많지 않은지라 겁부터 먹었던 것 같다.😢 원래 포함되어 있단 test/java/study 내 코드들을 살펴보기도 하고 따로 테스트 코드 작성법에 대해 공부도 많이 해야 했었다. 기능 목록 1주차보다 꼼꼼히 작성하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뭔가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이유를 다시 생각해보니 나는 클래스와 함수를 먼저 다 짜놓고 난 후에 기능 목록을 작성하려고 하였는데, 이 방법이 오히려 어려웠던 것 같다. 차라리 정리되지 않은 기능들을 먼저 쭉 적어보고 그 후에 함수나 클래.. 2023. 11. 5. [우테코] BE 2주차 공통 피드백 README.md를 상세히 작성한다 미션 저장소의 README.md는 소스코드에 앞서 해당 프로젝트가 어떠한 프로젝트인지 마크다운으로 작성하여 소개하는 문서이다. 해당 프로젝트가 어떠한 프로젝트이며, 어떤 기능을 담고 있는지 기술하기 위해서 마크다운 문법을 검색해서 학습해 보고 적용해 본다. 기능 목록을 재검토한다 기능 목록을 클래스 설계와 구현, 함수(메서드) 설계와 구현과 같이 너무 상세하게 작성하지 않는다. 클래스 이름, 함수(메서드) 시그니처와 반환값은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너무 세세한 부분까지 정리하기보다 구현해야 할 기능 목록을 정리하는 데 집중한다. 정상적인 경우도 중요하지만, 예외적인 상황도 기능 목록에 정리한다. 특히 예외 상황은 시작 단계에서 모두 찾기 힘들기 때문에 기능.. 2023. 11. 5. [우테코] BE 1주차 공통 피드백 요구사항을 정확히 준수한다 과제 제출 전에 기능 요구 사항, 프로그래밍 요구 사항, 과제 진행 요구 사항의 항목을 모두 잘 지켰는지 다시 한 번 점검한다. 커밋 메시지를 의미 있게 작성한다 커밋 메시지에 해당 커밋에서 작업한 내용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작성한다. git을 통해 관리할 자원에 대해서도 고려한다 .class 파일은 java 코드가 있으면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class 파일은 굳이 git을 통해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IntelliJ IDEA의 .idea 폴더, Eclipse의 .metadata 폴더 또한 개발 도구가 자동으로 생성하는 폴더이기 때문에 굳이 git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앞으로 git에 코드를 추가할 때는 git을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는지를 고려해볼 것을 추천한.. 2023. 10. 29. [우테코] 1주차 회고 우선 스스로에게 수고했다는 말을 하고 싶다! 이렇게 무언가에 몰입해 본 것이 처음이었다. 일주일 내내 우테코 과제만 생각할 정도로🥹 1주차 미션 1주차 미션은 숫자 야구였다. '그렇게 어렵지는 않은데?'라고 생각했지만 환경 설정, 요구사항 지키기 등 개발에 필요한 다른 능력들을 기르고 익숙해지기 위한 미션이란 생각이 들었다. 소감문 1주차에서 가장 아쉬운 점이 이 소감문이었다. 나는 단순히 소감만을 적었는데 다음 주차부터는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 무엇을 느꼈는지를 더 자세히 적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능 목록 이 부분도 아쉬운 점이 많다. 사실 개발을 하며 기능 목록을 스스로 이렇게 정리해 본 것은 거의 처음이었다. 그래서인지 처음부터 감을 잡기가 어려웠다. 스터디카페에서 노트를 하나 펼쳐놓고 각 기.. 2023. 10. 2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