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25년 간의 수행 끝에 원재는 미래를 보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이 능력으로 원재는 사재기를 하려고 한다.
다만 당국의 감시가 심해 한 번에 많은 양을 사재기 할 수 없다.
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서 사재기를 하여 최대한의 이득을 얻도록 도와주자.
1. 원재는 연속된 N일 동안의 물건의 매매가를 예측하여 알고 있다.
2. 당국의 감시망에 걸리지 않기 위해 하루에 최대 1만큼 구입할 수 있다.
3. 판매는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일 동안의 매매가가 1, 2, 3 이라면 처음 두 날에 원료를 구매하여 마지막 날에 팔면 3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입력]
첫 번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 별로 첫 줄에는 자연수 N(2 ≤ N ≤ 1,000,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각 날의 매매가를 나타내는 N개의 자연수들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순서대로 주어진다.
각 날의 매매가는 10,000이하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x’(x는 테스트케이스 번호를 의미하며 1부터 시작한다)를 출력하고, 최대 이익을 출력한다.
[예제 풀이]
1번째 케이스는 아무 것도 사지 않는 것이 최대 이익이다.
2번째 케이스는 1,2일에 각각 한 개씩 사서 세 번째 날에 두 개를 팔면 10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입력
3
3
10 7 6
3
3 5 9
5
1 1 3 1 2
출력
#1 0
#2 10
#3 5
풀이1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T;
T=sc.nextInt();
for(int test_case = 1; test_case <= T; test_case++)
{
int[] arr = new int[sc.nextInt()];
for (int i = 0; i < arr.length; i++) {
arr[i] = sc.nextInt();
}
System.out.println("#" + test_case + " " + calculate(arr));
}
}
private static long calculate(int[] arr) {
long sum = 0;
for (int i = arr.length - 1; i > 0; i--) {
int cur = arr[i];
for (int j = i - 1; j >= 0; j--) {
if (arr[j] >= cur) {
i = j + 1;
break;
}
sum += cur - arr[j];
if (j == 0) {
return sum;
}
}
}
return sum;
}
}
- main()의 for문 내부에서 각 테스트케이스마다 arr라는 int 배열을 만든 후, calculate() 호출
- calculate()
- sum : long 타입이어야 함
- N(2 ≤ N ≤ 1,000,000) X 10,000(각 날의 매매가) = 10,000,000,000(백억)
- int 범위를 초과함
- 테스트 케이스 7/10만 통과
- 이중 for문 사용
- cur은 현재 arr[i]의 값
- 내부 for문
- j는 i - 1부터 0까지
- 만약 arr[j]가 cur보다 크거나 같은 값이라면
- i를 j + 1로 설정 후 break
- 이유 : i--라는 조건이 있기 때문
- 그렇지 않다면 sum에 cur - arr[j]를 뺀 값을 더함
- 이 때 만약 j == 0 (배열의 끝) 에 도달했다면 sum을 반환하며 종료
- sum : long 타입이어야 함
- 시간복잡도 : O(N^2)
💬 오로지 통과만을 목적으로 한 노가다 풀이 ㅎ...
풀이2
참고
private static long calculate(int[] arr) {
long max = Long.MIN_VALUE;
int count = 0;
long cost = 0L;
long result = 0L;
for (int i = arr.length - 1; i >= 0; i--) {
if (arr[i] > max) {
result += (max * count - cost);
max = arr[i];
cost = 0L;
count = 0;
} else {
cost += arr[i];
count++;
}
}
result += (max * count - cost);
return result;
}
- for문을 한 번만 사용
- max = 현재의 최댓값
- count = 사려는 주식의 개수
- cost = 사려주는 주식의 총합
- result = 결과
- 현재 max 값보다 큰 값이 나오면
- max * count에서 cost를 뺀 값을 result에 더해준 후, max 값을 업데이트함
- e.g. [3,5,9] 일 때, max가 9라면, cost는 3+5인 8, count는 2 → 9 * 2 - 8 = 10
- cost와 count 초기화
- 그렇지 않다면
- cost에 arr[i] 값 더하기
- count++
- 마지막에 result += (max * count - cost) 를 한 번 더 해주어야 함
- 이유
- 만약 [3,5,9] 와 같은 배열이라면, max값을 한 번 9로 설정한 후, 다시 if 조건에 걸릴 일이 없음
- 그렇다면 cost와 count를 쌓아만 두고, result는 한 번도 계산하지 못한 채 for문이 끝나게 됨
- 이유
- rseult 반환
- 시간복잡도 : O(N)
'JAVA > Coding Test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D2] SWEA - 1204. [S/W 문제해결 기본] 1일차 - 최빈수 구하기 : Java (0) | 2024.10.25 |
---|---|
[D2] SWEA - 1954. 달팽이 숫자 : Java (0) | 2024.10.25 |
[Easy] LeetCode - no.530 Minimum Absolute Difference in BST : Java (1) | 2024.10.25 |
[Easy] LeetCode - no.637 Average of Levels in Binary Tree : Java (0) | 2024.10.25 |
[Easy] LeetCode - no.112 Path Sum : Java (0) | 2024.10.24 |